Portfolio

성북구 아파트 인테리어전 곰팡이제거 및 방지코팅 시공 사례

1. 현장 상황

  • 벽체 및 천장 곰팡이: 콘크리트 조인트부와 단열이 취약한 부위, 보일러실 벽체, 창호 주변에서 심각한 곰팡이가 번식.

  • 습기 원인: 외벽 결로, 단열 불량, 배관 및 보일러실 주변의 지속적인 습도, 환기 부족.

  • 피해 상태: 벽지 박리, 석고보드 오염, 콘크리트 표면 곰팡이 침투, 일부 구역 변색과 악취 발생.


2. 시공 과정

① 1차 곰팡이 제거

  • 벽지 및 오염 석고보드 제거: 곰팡이균이 번식한 마감재를 모두 철거.

  • 표면 곰팡이 제거제 도포: 곰팡이제거 전용 약품 도포  후 브러싱, 스팀 살균 병행.

  • 세척 및 건조: 송풍기와 온풍기를 사용하여 습기 제거.

② 2차 살균 및 항균 처리

  • 곰팡이 제거제 재도포: 잔여 곰팡이균 포자 제거.

  • UV 살균 또는 오존 처리(필요 시): 고온 증기/오존으로 곰팡이 DNA 파괴.

  • 항균 프라이머 도포: 이후 마감재가 곰팡이에 다시 오염되지 않도록 기초 방어막 형성.

③ 방지코팅 시공

  • 곰팡이 방지코팅제 도포: 콘크리트 벽체, 보일러실 주변, 창호 모서리 등 취약부위 집중 시공.

  • 규조토 페인트 / 단열재 병행 시공(선택): 습기 흡착 및 단열 보완을 통한 장기적 예방.


3. 시공 효과

  • 곰팡이균 완전 제거 후 재발 방지 시스템 구축.

  • 보일러실, 창호부, 외벽 단열 취약부위까지 코팅으로 곰팡이 차단막 형성.

  • 향후 인테리어(도배, 단열벽지, 마감재 시공) 시에도 곰팡이 재발 가능성 최소화.


4. 결론

본 현장은 인테리어 공사 전 곰팡이 제거 및 방지코팅을 선행하여, 추후 마감재 재시공 시 곰팡이가 내부에서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기초 공정을 철저히 한 사례입니다.
이 과정을 통해 쾌적한 실내환경 확보, 건물 수명 연장, 거주자 건강 보호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.